2023. 9. 8. 14:00ㆍSpring 활용 통합 시스템 개발/JAVASCRIPT
함수
자바스크립트에서 반드시 함수 선언을 먼저 하고 그 후에 함수를 호출해야 동작한다.
※ 반대로 선언은 뒤에서 하고 함수 호출을 먼저 하면 오류가 발생한다.
예제
내 코드
※ 시행착오 : 매개변수로 사용될 정수를 입력받을 때 prompt() 함수를 사용했다. prompt() 함수로 입력받은 정수는 사실 문자열 타입이므로 mySum함수에서 + 연산을 하면 문자끼리 나란히 붙을 뿐 더하기 연산이 안 된다.
parseInt()로 정수로 바꿔주어 정수로 만든다.
※ 배열의 행과 열을 바꿔서 해결하는 예제 - matrix[i][j] -> matrix[j][i]
행렬의 행과 열을 for()으로 반복할 때 먼저 열을 for()로 반복하고 두번째로 행을 for() 반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게 바꿔서 이중 for()를 반복하면 원래 행렬의 열이 행이 되고 원래 행렬의 행이 열이 된다.
newRow에 원래 행렬 arr[i][j]를 대입한다.
newRow에 행이 j 이므로 arr의 열이 newRow의 행 순서로 추가된다.
newRow[j = 0] 일 때 arr에서 첫번째 열 (1, 4, 7)이 행으로 입력.
newRow[j = 1] 일 때 arr에서 두번째 열 (2, 5, 8)이 행으로 입력.
newRow[j = 2] 일 때 arr에서 세번째 열 (3, 6, 9)이 행으로 입력.
내 코드
내 코드:
바뀐 행렬
7 4 1 -> 원래 행렬 인덱스 (2,0), (1,0), (0,0) -> 원래 행렬 i, j가 바뀌고 j가 행이 되고 2 ~ 0, i가 열이 되어 0 ~ 2이 된다
8 5 2 -> 원래 행렬 인덱스 (2,1), (1,1), (0,1)
9 6 3 -> 원래 행렬 인덱스 (2,2), (1,2), (0,2)
바뀐 행렬 인덱스를 보면 (i,j)에서 j와 i가 바뀌고
첫번째 행에 i = 0이 고정된 상태에서 j 가 2 ~ 0으로 바뀌면서 순회한다.
두번째 행에 i = 1이 고정된 상태에서 j 가 2 ~ 0으로 바뀌면서 순회한다.
세번째 행에 i = 2이 고정된 상태에서 j 가 2 ~ 0으로 바뀌면서 순회한다.
행이 j가 되고 i는 2 - 0 = 2/ 2 - 1 = 1/ 2 - 2 = 0
n : 행렬의 길이 -> rotated[j][n - 1 - i] = matrix[i][j]; 에서 [n - 1 - i] 부분에서 (n - 1)은 행렬의 마지막 행이다.
내 코드
내 코드
'Spring 활용 통합 시스템 개발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14 - querySelector (0) | 2023.09.14 |
---|---|
JAVASCRIPT 10 생성자 함수 (0) | 2023.09.11 |
JAVASCRIPT 05 2차원배열 (0) | 2023.09.07 |
JAVASCRIPT 04 Array (0) | 2023.09.06 |
JAVASCRIPT 03 (0) | 2023.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