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 명령어로 시간 포맷 변경, cd 명령어

2023. 4. 18. 00:33리눅스/리눅스_입문

ls 명령어로 시간 포맷을 변경하는 옵션, cd 명령어

1 --time-style=locale 옵션

ls 명령어에 --time-style=locale 옵션을 줘서 시간 포맷이 x월 xx일 시간:분으로 바꼈다.

 

 

2 --time-style=full-iso 옵션

--time-style=full-iso 옵션을 주어서
가장 자세한 시간 포맷으로 출력되었다.

 

3 i 옵션을 줘서 아이노드 정보 출력

ls -l 명령어에 i 옵션을 줘서 파일정보 맨 앞에 아이노드 정보가 출력된다.

ls -l 명령으로 출력된 컬럼(column)의 의미
[파일/디렉터리 퍼미션] [하드 링크파일 수] [소유자] [그룹] [파일크기] [수정시간] [파일명]

[파일/디렉터리 퍼미션]
-rw-r--r-- -> (1) - , (2) rw- , (3) r--, (4) r--
(1) '-'는 일반 파일을 의미한다. (1) 자리에 '-'외 에도 다른 문자가 올 수 있다. 예를 들어
'd' 는 디렉터리를 의미한다. 
'c' 는 캐릭터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b' 는 블록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l' 는 심볼릭 링크 파일을 의미한다.
's' 는 소켓 파일을 의미한다.
(2) 자리의 3개 문자단위는 소유자의 권한을 의미한다. 소유자에게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표시한다.
'r' 은 소유자의 읽기 권한, 'w' 은 소유자의 쓰기 권한, '-' 은 소유자의 실행권한을 표시해야 하지만
'-' 표시는 실행권한이 없다는 뜻이다.
(만약 실행 권한이 있다면 'x' 표시가 출력된다.)
(3) 자리의 3개 문자단위는 그룹의 권한을 의미한다.
'r--' 는 읽기만 가능하고 쓰기와 실행은 불가능하다.
(4) 자리의 3개 문자단위는 소유자, 그룹 사용자가 아닌 모든 사용자의 권한을 의미한다.
'r--' 라서 다른 사용자도 읽기만 가능하고 쓰기, 실행 권한이 없다.

[하드 링크파일 수]
하드링크 : 리눅스상에서 동일한 파일시스템 내의 파티션에서 동일한 inode 정보를 가지는 파일을 말한다.
ln 원본파일 하드링크파일 : 또 하나의 하드 링크 파일을 생성. 이러면 원본 파일과 하드링크파일은 동일한 inode 정보를 가지게 되어
어느 하나의 파일이 변경되면 두 파일 모두 동일한 내용과 크기로 변경되는 형태이다.

ln -s 원본파일 심볼릭링크파일 : 심볼릭 링크 파일을 생성하는데, 심볼릭 링크 파일은 단지 원본 파일의 이름만 링크하며, 하드 링크와 다르게 
동일한 파티션이 아니라도 가능하다. 만약 심볼릭 링크파일의 원본 파일을 삭제하면 심볼릭 링크 파일은 가리킬 파일명이 삭제되어 의미없는 파일이 된다.

cd (디렉터리 경로명)
cd 명령어 뒤에서 이동할 디렉터리의 경로를 지정해줘야 한다. 경로 지정 방법은 절대 경로, 상대 경로가 있다.
절대 경로는 최상위 루트 디렉터리(/)로부터 변경할 디렉터리까지 경로를 모두 적어주는 방법이다.
상대 경로는 현재 작업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적어주는 방법이다.

 

4 cd 상대경로

현재 작업 디렉터리가 root 디렉터리일 때, /usr/local 디렉터리로 이동하려면,
절대 경로 : cd /usr/local 입력하면 local 디렉터리로 이동한다.
상대 경로 : cd ../usr/local 로 입력하면 이동된다.
cd ..          : 현재 작업 디렉터리에서 한 단계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한다.
cd ./local   : 현재 작업 디렉터리가 /usr 상태에서 한 단계 하위 디렉터리(/local)로 이동한다.
./               : 현재 작업 디렉터리를 의미한다. 

'리눅스 > 리눅스_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다이렉션  (0) 2023.04.19
파일 복사, 디렉터리 이동  (0) 2023.04.19
1.1 리눅스와 쉘  (0) 2023.04.17
간단 쉘 스크립트(7) - dialog  (0) 2022.10.01
간단 쉘 스크립트(6) - read  (0) 2022.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