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시스템관련명령어 1

2022. 9. 3. 11:20리눅스/리눅스_입문

cd : Change Directory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지정한 디렉토리로 변경

  * cd -

ls : LiSt 현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출력

  * ls -al, ls -1, ls -alh, ls -alht, ls -alhtr

df : Disk Free 마운트 된 모든 장치에 대한 현재의 디스크 공간 통계를 출력

  * df -h, df -T, df -i

 

root 에서 vagrant 디렉토리로 이동 -> 현재 작업 디렉토리 확인 ->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test_shell' 디렉토리 이동 -> 현재 디렉토리 확인 -> 상위 디렉토리 이동 -> 바로 직전 디렉토리로 다시 이동

상대경로 - 현재 위치에서 지정한 디렉토리까지 가는 길이

절대경로 - 최상위 디렉토리에서 지정한 디렉토리 까지 가는 길이

cd / : 최상위 디렉토리

cd . : 현재 디렉토리

cd .. : 현재보다 상위 디렉토리

cd ../.. : 한 단계보다 더 상위 디렉토리 이동

cd - : 바로 직전의 디렉토리로 이동

 

ls 명령어 실습 결과 -> (-al) 옵션이 붙은 경우 -> 옵션 없이 ls만 실습

ls -al(영어 에이엘) : .이 붙은 숨겨진 파일 출력

ls -1 (숨겨진 파일빼고) : 파일명만 출력

ls -a1 : (-a 옵션으로) 숨겨진 파일 포함하여 (-1 옵션으로) 파일명만 출력

ls -alh : (-h 옵션 추가해서) 용량을 숫자에서 KB 단위로 출력

ls -alt : (-t 옵션 추가해서) 시간순으로 정렬

ls -altr : (-r 옵션 추가해서) ls -alt의 역순으로 정렬

 

ls -1 출력 결과
ls -a1 출력 결과

 

ls -alh 출력결과

 

ls -alt 출력결과

 

ls -altr 출력결과

 

df -h : 디스트 용량 MB, GB로 출력

df -T : 디스크 타입 출력

(df -Th로 입력해서 디스크 타입과 MB, GM 단위로 용량표시돼서 출력 가능)

df -i : 스토리지 운영하다가 Inodes 가 꽉 차는 경우 사용

inode : 파일을 기술하는 디스크 상의 데이터 구조로서 파일의 데이터 블록이 디스크 상의 어느 주소에 있는지 등 중요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모든 파일이나 디렉토리는 1개의 inode를 가지고 있다. 각 inode에는 해당 파일의 소유권, 허가권, 파일 종류 등의 정보 , 해당 파일의 실제 데이터가 어디에 있는 위치가 저장된다.

inode가 모여있는 공간이 inode블록이라고 하고 전체 디스크의 1%를 차지한다.

Inodes : inodes 가 얼마나 있는지 표시

IUsed : inodes 를 얼마나 사용하고 있는지 표시

IFree : inodes를 얼마나 사용할 수 있는지 표시

 

df 출력결과 -> df -h 출력결과 1K-blocks 리스트가 없어지고 Size 열이 새로 생기고 메가바이트 단위 표시됨

 

df 출력결과에서 Type 리스트가 추가됨

 

df -i 출력결과 - Inodes 리스트 확인

 

 

'리눅스 > 리눅스_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관련명령어 3  (0) 2022.09.04
파일관련명령어 2  (0) 2022.09.04
파일관련명령어 1  (0) 2022.09.03
파일시스템관련명령어 2  (0) 2022.09.03
리눅스와 쉘(Shell)  (0) 2022.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