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리눅스_입문

파일관련명령어 3

HYC 2022. 9. 4. 23:16

paste : 2개의 파일 내용을 가로로 붙이다, 지정한 파일들의 행을 읽어 탭으로 구분하여 병합.

dd if=인풋파일이름 of=아웃풋파일이름 bs=바이트크기 count=블럭을복사할횟수

: 블록 단위로 데이터셋을 정의하여 파일을 쓰고 읽음

tar -cvzf 타르볼파일명 디렉토리/파일명 : 파일을 묶어서 압축할 때

tar -xvzf 타르볼파일명 : 압축을 풀 때

 

 

cat 파일이름  명령어로 파일의 내용 확인

 

cat 명령어로 한꺼번에 2 파일 내용 확인 - 내용이 세로로 출력

 

paste 명령어로 2 파일 내용이 가로 방향으로 출력

 

dd if=인풋파일 of=아웃풋파일 bs=바이트(크기) count=블럭을 복사할 횟수 -> 1024 바이트를 10번 복사해서 크기가 10240 바이트가 됨.

 

tar -cvzf 명령어로 vagrant 폴더를 압축해서 'work_vagrant.taz'로 만들었다. -> ls 명령어로 'work_vagrant.taz'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ar -tf  명령어로 압축한 파일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압축파일 work_vagrant.taz는 vagrant 디렉토리를 압축했다. ls -al 명령어로 vagrant 디렉토리 내용을 확인하면 vagrant 디렉토리 정보만 있다. 그래서 work_vagrant.taz 내용이 vagrant 정보만 있어서 'vagrant/'라고 출력되었다.

 

mv 명령어로 압축파일 'work_vagrant.taz' 파일을 test 디렉토리로 이동 -> test 디렉토리 내용을 ls -al 명령어로 확인해보면 work_vagrant.taz 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ar -xvzf 명령어로 압축파일 work_vagrant.taz 파일의 압축을 풀었다. 압축풀면 바로 압축파일 내용이 출력된다. ls -al 파일명 내용 보면 압축했던 vagrant 디렉토리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